2025 농업 에너지 효율화 사업 FAQ 융자 조건, 신청 방법 완벽 정리

2025 농업 에너지 효율화 사업 FAQ 융자 조건, 신청 방법 완벽 정리

사업 개요 및 목표

국제유가 및 농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농가의 경영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고자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등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농업에너지이용효율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농업 시설에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적용해 농가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지속 가능한 친환경 농업 기반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지원 대상 농업인 및 단체

이 사업은 다양한 농업 주체를 대상으로 합니다. 주로 채소, 화훼, 버섯류를 재배하는 농업인과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등록된 농업법인 및 생산자단체가 포함됩니다. 특히, 5인 이상이 결성한 법인격 있는 전문생산자조직도 지원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지열 또는 폐열 시설을 설치할 경우 돼지, 닭, 오리 등 축산 농가 및 단체도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우선 지원 대상

  • 순환식 수막재배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 태풍, 화재 등 재해로 피해를 입은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
  • 과거 정부 지원 사업으로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했더라도, 개보수가 필요한 경우

지원 시설 및 내용

본 사업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는 시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열 냉난방시설
  • 폐열 재이용시설
  • 공기열 냉난방시설
  • 목재 펠릿 난방기
  • 저탄소에너지공동이용시설

지원 형태는 국고보조금, 융자금, 지방비, 그리고 자부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설 종류에 따라 지원 비율이 상이합니다.

시설 구분 국고보조 융자 지방비 자부담
지열/폐열 시설 60% 10% 20% 10%
공기열 시설 40% 20% 30% 10%
목재 펠릿 난방기 30% 20% 30% 20%
저탄소에너지공동이용시설 70% 30%

융자금은 농협은행(농‧축협 포함)을 통해 지원되며, 고정금리 2.0% 또는 변동금리(시중금리-2.0%)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상환 조건은 3년 거치 7년 분할상환입니다.

신청 방법과 절차

본 사업의 신청 방법은 온라인 접수 없이 지방자치단체(시·군·구청)를 방문하여 직접 접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신청 기간은 각 지역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반드시 방문 전 해당 지역 관할 기관에 문의하여 정확한 기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 서류 및 문의처

  • 구비 서류: 사업계획서, 사업신청서 등 (정확한 목록은 시·군·구청 문의 필요)
  • 접수 기관: 해당 지역 시·군·구청
  • 대표 문의 전화: 044-201-2259

신청서류는 해당 지자체에 직접 문의하여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확인을 위해 전화 문의 후 방문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사업의 효과 및 참여 안내

‘농업에너지이용효율화’ 사업은 농가 경영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통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친환경 농업 기반을 다질 수 있습니다. 본 사업에 관심이 있다면,
정부24 웹사이트를 통해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본인의 조건에 맞는 지원 대상과 내용을 꼼꼼히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Q. 융자금 상환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A. 융자금은 3년 거치 7년 분할상환 조건으로, 융자 취급기관인 농협은행(농·축협 포함)을 통해 지원됩니다. 고정금리 2.0% 또는 변동금리(시중금리-2.0%)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Q. 사업 신청은 언제, 어떻게 하나요?

A. 신청 기간은 각 지역의 시·군·구청에 따라 상이합니다. 온라인 신청은 불가능하며, 반드시 해당 지역 시·군·구청을 직접 방문하여 접수해야 합니다.

Q. 지자체에 직접 문의할 수 있나요?

A. 네, 사업 관련 문의는 해당 지역 시·군·구청에 직접 전화로 하실 수 있습니다. 필요한 구비서류(사업계획서, 사업신청서 등)에 대한 안내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